-ㄹ꼬

어미 Ending of a Word

  1. 1. -l-kko

    (아주낮춤으로)(옛 말투로) 어떤 사실에 대하여 말하는 사람의 의문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.

    (formal, highly addressee-lowering)(old-fashioned) A sentence-final ending used to indicate the speaker's question or assumption about a certain fact.

    • 밤이 이렇게 긴데 해는 언제 뜰꼬?
    • 사람이 많은 집안이 어찌 이리도 조용할꼬?
    •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그 아들은 어떻게 살꼬?
    • 모두가 두려워하는 곳에 갈 사람이 도대체 누구일꼬?
    • 몸도 마음도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 이 일을 어찌 할꼬?
    • 가: 날씨가 왜 이리 더울꼬?
    • 나: 그러게 말씀입니다.
    • ‘이다’, 받침이 없거나 ‘ㄹ’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‘-으시-’ 뒤에 붙여 쓴다.
    • 참고어 -을꼬
  2. 2. -l-kko

    (아주낮춤으로)(옛 말투로) 어떤 사실에 대하여 말하는 사람 스스로에게나 상대방에게 의사를 물어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.

    (formal, highly addressee-lowering)(old-fashioned) A sentence-final ending used when the speaker asks himself/herself or another person about a certain fact.

    • 내일은 무슨 책을 볼꼬?
    • 오늘은 누구와 산책을 할꼬?
    • 나에게 필요 없는 물건을 어디에다 쓸꼬?
    • 가: 여보게, 우리는 언제 나갈꼬?
    • 나: 미루지 말고 지금 가세나.
    • 받침이 없거나 ‘ㄹ’ 받침인 동사 또는 ‘-으시-’ 뒤에 붙여 쓴다.
    • 참고어 -을꼬

'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-ㄹ라  (0) 2019.11.16
-ㄹ는지  (0) 2019.11.16
-ㄹ까요  (0) 2019.11.16
-ㄹ까 싶다  (0) 2019.11.16
-ㄹ까  (0) 2019.11.16

+ Recent posts